본문 바로가기
리얼 사용기 & 생활 정보

미국, 유럽에선 왜 신발을 신고 집 안에 들어갈까?

by 똘리똘리 2025. 7. 4.
728x90

신발을 신고 집에 들어가는 이유

1. 건조한 기후와 외부 환경 차이

  • 유럽/미국 많은 지역은 비·눈이 적고, 흙먼지보다 마른 먼지가 대부분
  • 바닥이 진흙투성이가 되는 날이 거의 없음
  • 흙이 잘 달라붙지 않아 실내로 오염 유입도 적음

2. 카펫 문화 → 맨발보다 신발

  • 많은 미국·영국 가정은 거실과 방 전체가 카펫으로 깔려 있음
  • 맨발로 다니면 땀이나 발 냄새가 카펫에 스며들어 오히려 청결에 안 좋다고 여김
  • 그래서 신발을 신는 것이 청결하고 예의 있는 행동으로 여겨지기도 함

3. ‘사생활 존중’ 문화와 연결

  • "신발 벗어달라"는 요청 자체를 사적인 공간 침해로 느끼는 문화도 존재
  • 집에 들어오는 손님에게 편하게 있으라는 의미로 신발을 벗기지 않음

4. 안전·보온·패션적 이유

  • 특히 겨울엔 신발이 보온 역할을 하기도 함
  • 또 실내용 슬리퍼를 따로 두지 않는 경우, 편하게 실외화를 그대로 신는 경우가 많음
  • 바닥이 차가운 지역(캐나다 북부, 북유럽 등)에서도 신발을 신은 채 지냄

서양인의 기준

  • 유럽/미국은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기보다는 눈에 거슬리면 청소하는 정도
  • 마른 먼지는 습하지 않아서 곰팡이나 냄새가 덜 난다고 생각
  • 바닥은 앉는 곳이 아니라 걷는 곳 → 먼지에 민감하지 않음
  • 신발을 신는 건 일상, 신발 밑창에 묻은 약간의 먼지는 크게 개의치 않음

침대에 신발 신고 올라가는 이유

이유 설명
생활 방식 차이 한국은 바닥 중심, 서양은 침대 중심 생활 → 침대를 ‘앉는 가구’처럼 사용
청결 기준 차이 신발에 먼지가 있어도 큰 문제로 여기지 않음 (카펫 문화와 비슷)
침대를 "높은 의자"처럼 사용 일상적으로 침대에 앉아서 책 읽거나, 전화하거나, TV 봄
드라마·영화 영향 문화적 연출로도 굳어짐 → 현실보다 더 자유롭게 묘사됨

침구 및 카펫은 어떻게 관리할까?

1. 침구

  • 세탁 자주 안 함 → 한국보다 침대 커버, 이불은 세탁 주기가 김
  • 하지만 위생에 무심한 건 아님 → 침구 위에 덮개(blanket, throw)를 깔아 사용
  • 신발 신은 채 침대에 앉기용 덮개를 따로 사용하는 사람도 많음

2. 카펫

  • 미국·유럽은 카펫을 거의 세탁하지 않음 → 샴푸, 진공, 스팀으로만 관리
  • 세탁소 맡기는 개념이 거의 없음, 전문 청소는 비싸고 드묾
  • 위생적으로는 한국의 러그 + 자주 세탁 문화가 더 우수함

이런 문화가 가장 심한 나라

1위 : 미국 (USA) - 신발 신고 집 안 돌아다니는 문화가 가장 일반적

  • 대부분의 미국 가정 : 신발 신고 거실, 부엌, 심지어 침실까지 이동
  • 카펫 바닥 + 외부용 신발 그대로 실내
  • 영화, 드라마에서도 늘 신발 신고 등장 → 현실 반영
  • "신발 벗어주세요" 하면 이상하게 여기는 사람도 있음
  • 동양계 가정, 일부 북부 추운 지역(눈 때문에 진흙·물 많을 때)은 신발 벗기도 함

2위 : 영국 (UK) - 미국보다 약간 덜하지만, 대부분 신발 신은 채로 생활

  • 카펫 비율이 매우 높음 → 맨발 싫어함
  • 손님 초대 시 신발을 벗기는 걸 실례로 여기는 경우 많음
  • 단, 요즘 젊은 세대는 슬리퍼나 실내용 신발 준비하는 경우도 있음

3위 : 호주 (Australia) - 대부분 신발 신은 채로 실내 생활

  • 실내외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건축 많음
  • 실내 슬리퍼보다 신발 그대로 생활이 자연스러움
  • 단, 모래가 많은 지역은 신발 벗는 집도 늘어나는 추세

신발 신고 생활의 부작용

1. 바닥 오염 및 세균 유입

  • 여러 연구에 따르면 신발 바닥에는 화장실보다 더 많은 박테리아 존재
    → 대표적으로 대장균, 클로스트리디움, 살모넬라 등
  • 공공장소나 거리에서 밟은 오염물질이 집 안으로 유입될 수 있음

2. 카펫에 오염 축적 → 냄새와 건강 문제

  • 특히 반려동물, 어린이 있는 집은 세균성 문제 우려
  • 알레르기, 호흡기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음

3. 바닥 마모 및 손상

  • 신발 굽, 모래가 실내 바닥재를 긁어 스크래치, 마모 발생
  • 특히 나무 바닥은 오래가면 광택이 사라지고 관리 어려움

왜 그냥 살까?

1. 익숙한 문화 + 눈에 익은 풍경

  • 그들은 어려서부터 그런 환경에서 살아서 더럽다는 기준이 다름

2. 건조한 기후 + 오염 적음

  • 한국처럼 공장 많은 동아시아 지역보다 공기질 자체가 좋은 지역이 많음
  • 먼지는 있어도 유해하지 않다는 인식

3. 청소 방식의 차이

  • 로봇청소기, 진공청소기 등을 주기적으로 사용
  • 마루나 타일 바닥보다 카펫에서의 먼지를 더 신경 씀

요즘은 변화하는 추세

지역 변화 경향
미국 도시형 아파트, 동양계 가정 중심으로 신발 벗는 문화 확산 중
영국 젊은 세대, 신축주택 중심으로 ‘슬리퍼 생활’ 도입
프랑스·독일 여전히 신발 착용 많지만, 위생적 이유로 집에서는 벗는 가정 증가
스웨덴, 핀란드 원래부터 ‘신발 벗기’ 문화 있음 (예외적 유럽 국가들)

함께 보면 좋은 글

728x90

` : ` `; adDiv.innerHTML = adCode; paragraphs[midIndex].after(adDiv); });